맨위로가기

서부 개척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부 개척사는 1962년 개봉한 미국 서부 영화로, 스펜서 트레이시가 내레이션을 맡았다. 183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서부 개척 시대를 배경으로, 프레스콧 가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삶과 시대별 주요 사건들을 다룬다. 존 포드, 헨리 해서웨이 등이 감독했으며, 제임스 스튜어트, 그레고리 펙, 존 웨인 등 다수의 배우가 출연했다. 시네라마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을 거두어 아카데미 각본상, 편집상, 음향상을 수상했다. 또한 미국 영화 연구소의 영화 음악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1997년 미국 국립 영화 등기부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스다코타주에서 촬영한 영화 - 붉은 사슴비
    붉은 사슴비는 FBI 요원이 사우스다코타 원주민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을 수사하며 원주민 권리 운동과 관련된 음모에 휘말리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이다.
  • 사우스다코타주에서 촬영한 영화 - 스타십 트루퍼스 (영화)
    스타십 트루퍼스는 1997년 폴 버호벤 감독이 연출한 SF 액션 영화로,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인류와 곤충형 외계 생명체 아라크니드의 전쟁을 통해 군국주의, 선전, 시민 의무 등을 풍자한다.
  • 켄터키주에서 촬영한 영화 - 007 골드핑거
    1964년 개봉한 제임스 본드 시리즈 세 번째 영화 《007 골드핑거》는 숀 코너리 주연으로 금괴 밀수범 오릭 골드핑거의 미국 금괴 보관소 침투 계획을 막는 제임스 본드의 활약을 그린 작품이며, 아카데미상 수상과 셜리 배시의 주제가, 애스턴 마틴 DB5 등장으로도 유명하다.
  • 켄터키주에서 촬영한 영화 - 인사이더 (영화)
    마이클 만 감독의 스릴러 영화 인사이더는 CBS '60 Minutes' 프로듀서가 담배 회사 비리를 폭로하려는 내부고발자를 인터뷰하는 과정을 통해 언론 자유와 기업 횡포 간의 갈등을 그린 작품이다.
  • 18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올리버 트위스트 (2005년 영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이 찰스 디킨스의 동명 소설을 각색하여 빈곤 속 고아 올리버 트위스트의 고난을 그린 2005년 영화는 체코에서 촬영되었고 소매치기 묘사로 주목받았지만, 원작과의 차이점과 배우들의 연기력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 18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영 빅토리아
    《영 빅토리아》는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젊은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 초기, 왕위 계승, 정치적 음모, 앨버트 공과의 로맨스를 그린 영화로, 에밀리 블런트, 루퍼트 프렌드, 폴 베타니 등이 출연했으며,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의상상을 수상했다.
서부 개척사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1962년 제작)
영화 포스터 (1962년 제작)
원제How the West Was Won
감독헨리 해서웨이
존 포드
조지 마셜
리처드 소프
제작자버나드 스미스
각본제임스 R. 웨브
원작루이스 라무르
음악알프레드 뉴먼
촬영윌리엄 H. 대니얼스
밀턴 클래스너
찰스 랭 주니어
조지프 라셸
편집해럴드 F. 크레스
내레이터스펜서 트레이시
출연캐럴 베이커
리 J. 콥
헨리 폰다
캐럴린 존스
칼 말든
그레고리 펙
조지 페퍼드
로버트 프레스턴
데비 레이놀즈
제임스 스튜어트
일라이 월락
존 웨인
리처드 위드마크
브리짓 바즐렌
월터 브레넌
데이비드 브라이언
앤디 디바인
레이먼드 매시
애그니스 무어헤드
헨리 (해리) 모건
셀마 리터
미키 쇼네시
러스 탬블린
제작사MGM
시네라마 프로덕션스
배급사MGM
개봉일영국: 1962년 11월 1일 (프리미어)
일본: 1962년 11월 29일
미국: 1963년 2월 20일
상영 시간165분
언어영어
아라파호어
제작비15,000,000 달러
흥행 수입50,000,000 달러

2. 등장인물

2. 1. 프레스콧 가문

프레스콧 가문은 제불론 프레스콧(칼 말덴)과 아내 레베카 프레스콧(애그니스 무어헤드) 부부가 두 딸 이브와 릴리스를 데리고 이리 운하를 통해 서부 개척지로 향하면서 시작된다.

프레스콧 가문 주요 인물
인물배우설명
제불론 프레스콧칼 말덴가족을 이끌고 서부로 이주하는 가장. 여정 중 급류에 휘말려 사망한다.
레베카 프레스콧애그니스 무어헤드제불론의 아내. 남편과 함께 여정 중 급류에 휘말려 사망한다.
이브 프레스콧 롤링스캐롤 베이커프레스콧 가문의 장녀. 산악인 라이너스 롤링스와 결혼하여 아들 제브를 낳는다. 부모가 사망한 곳에 정착하며, 남편이 남북전쟁에서 전사한 후 사망한다.
릴리스 프레스콧 밴 발렌데비 레이놀즈프레스콧 가문의 차녀. 동부로 갔다가 도박사 클리브 밴 발렌과 결혼하여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한다. 후에 과부가 되어 애리조나로 이주한다.
라이너스 롤링스제임스 스튜어트산악인. 이브와 결혼한다.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으로 참전 중 전사한다.
클리브 밴 발렌그레고리 펙프로 도박사. 릴리스와 결혼한다.
제브 롤링스조지 페퍼드이브와 라이너스의 아들. 남북전쟁 참전 후 기병대, 보안관 등으로 활동하며 서부 개척 시대를 살아간다.
줄리 롤링스캐롤린 존스제브 롤링스의 아내.



'''1세대: 제불론과 레베카'''

제불론과 레베카 부부는 두 딸 이브, 릴리스와 함께 이리 운하를 거쳐 오하이오 강으로 향하는 뗏목을 만들어 서부로의 여정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피츠버그로 향하던 산악인 라이너스 롤링스(제임스 스튜어트)를 만나고, 장녀 이브와 라이너스는 서로에게 호감을 느낀다.

정착민들의 뗏목이 급류에 갇혔다.


라이너스는 강도의 소굴인 외딴 무역 기지에서 습격을 당하지만, 그들을 뒤쫓아 프레스콧 가족을 노리던 강도들을 가족의 도움으로 물리친다. 이후 프레스콧 가족은 계속 강을 따라 내려가던 중 급류에 휘말려 제불론과 레베카 부부가 목숨을 잃는다.

'''2세대: 이브와 릴리스'''

부모를 잃은 후, 이브는 라이너스의 청혼을 받아들이지만, 피츠버그로 가자는 그의 제안 대신 부모가 잠든 땅에 정착하기로 결심한다. 라이너스는 이브와 함께 그곳에 남는다.

이주민 대열이 샤이엔족 전사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


반면, 동생 릴리스는 동부로 돌아가 세인트루이스에서 음악당 가수로 활동한다. 그곳에서 프로 도박사 클리브 밴 발렌(그레고리 펙)의 눈에 띄게 된다. 이후 릴리스는 캘리포니아 금광을 상속받고, 금광으로 향하는 이주민 대열에 합류한다. 클리브 역시 빚을 피해 이 대열에 합류하여 릴리스에게 접근한다. 샤이엔족의 습격을 받는 등 험난한 여정 끝에 도착한 금광은 이미 폐광된 상태였다. 실망한 클리브는 릴리스를 떠나고, 릴리스는 캠프 타운의 댄스홀에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한다.

시간이 흘러 강선 가수가 된 릴리스는 우연히 승객으로 탑승한 클리브와 재회한다. 클리브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새로운 시작을 하자며 청혼하고, 릴리스는 이를 받아들인다.

'''3세대: 제브 롤링스'''

미국 남북 전쟁


이브와 라이너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제브 롤링스(조지 페퍼드)는 아버지 라이너스가 미국 남북 전쟁에 북군 소령으로 참전하자, 어머니 이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영광을 찾아 입대한다. 그는 참혹한 샤일로 전투에서 전쟁의 실상을 깨닫고 아버지를 잃는다. 전쟁 중 탈영을 시도하는 남군 병사를 만나기도 하지만, 그가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과 윌리엄 테쿰세 셔먼 장군을 암살하려 하자 그를 막고 다시 군에 복귀한다. 제브는 전쟁 동안 전투 공로로 중위까지 진급한다.

철도 건설


전쟁이 끝나고 돌아온 제브는 어머니 이브마저 남편을 잃은 슬픔으로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가족 농장을 동생에게 맡기고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난다. 이후 1860년대 후반, 제브는 미국 기병대 중위가 되어 중앙 태평양 철도와 유니온 태평양 철도 건설 과정에서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평화를 유지하려 노력한다. 아버지의 친구였던 버펄로 사냥꾼 제스로 스튜어트(헨리 폰다)의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철도 회사 측이 조약을 어기고 원주민 영토에 철도를 건설하자 아라파호족이 보복 공격을 가한다.[5][6] 이에 환멸을 느낀 제브는 군대를 떠난다.

열차를 강탈하려는 무법자들


시간이 흘러 제브는 보안관이 되어 아내 줄리(캐롤린 존스)와 가정을 이룬다. 한편, 샌프란시스코에서 남편 클리브를 잃고 과부가 된 숙모 릴리스는 빚을 갚기 위해 재산을 정리하고 남은 애리조나의 목장을 조카 제브에게 맡기기로 한다. 골드시티 기차역에서 릴리스와 재회한 제브는 과거 자신이 형제를 죽였던 무법자 찰리 간트(엘리 월릭)와 마주친다. 간트의 위협에 맞서 제브는 친구인 보안관 루 램지(리 J. 코브)의 도움을 받아 간트 일당의 열차 강도 계획을 저지하고 그들을 처치한다. 이후 제브와 그의 가족은 릴리스와 함께 애리조나의 새로운 보금자리로 향한다.

2. 2. 그 외 인물


  • 제임스 스튜어트 - 라이너스 롤링스 역. 동부로 모피를 팔러 가던 산악인이자 사냥꾼이다. 강에서 강도 무리에게 습격당하지만 살아남아, 이후 프레스콧 가족을 위기에서 구한다. 프레스콧가의 장녀 이브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고 그녀의 고향에 정착하여 농사를 짓는다. 남북 전쟁이 발발하자 북군 소령으로 참전하여 실로 전투에서 전사한다.
  • 그레고리 펙 - 클리브 밴 발렌 역. 세인트루이스에서 활동하는 프로 도박사. 릴리스가 캘리포니아의 금광을 상속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의도적으로 접근한다. 골드러시의 허상이 드러난 후에도 릴리스에게 진심으로 청혼하여 결혼하고, 샌프란시스코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 로버트 프레스턴 - 로저 모건 역. 캘리포니아로 향하는 이주민 대열을 이끄는 리더. 릴리스에게 호감을 느끼고 구애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 월터 브레넌 - 제브 호킨스 대령 역. 강가에서 술집으로 위장한 소굴을 운영하는 강도단의 두목. 딸 도라를 이용해 여행객들을 유인하여 살해하고 재물을 빼앗는다. 라이너스 롤링스와 프레스콧 가족의 반격으로 일당과 함께 최후를 맞는다.
  • 리처드 위드마크 - 마이크 킹 역. 대륙횡단철도 건설을 담당하는 유니언 퍼시픽사의 책임자.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위해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조약을 무시하고 그들의 영토를 침범하는 결정을 내린다. 이로 인해 아라파호족의 분노를 사 버펄로 떼 습격을 초래하고 많은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는 등, 서부 개척 과정에서의 탐욕과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다.
  • 헨리 폰다 - 제스로 스튜어트 역. 버펄로 사냥꾼이자 라이너스 롤링스의 오랜 친구. 미국 기병대 장교가 된 제브 롤링스를 도와 철도 건설로 인해 고조되는 아라파호족과의 갈등을 중재하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 일라이 월릭 - 찰리 갠트 역. 악명 높은 무법자. 과거 보안관이었던 제브 롤링스에게 형제가 사살된 것에 원한을 품고 있다. 제브와 그의 가족을 위협하며 복수를 노리다가, 금괴 수송 열차를 습격하려던 계획이 제브와 루 램지 보안관에게 저지당하고 총격전 끝에 사망한다.
  • 리 J. 코브 - 루 램지 역. 애리조나 지역의 보안관이자 제브 롤링스의 친구. 처음에는 제브에게 찰리 갠트와의 충돌을 피하라고 조언하지만, 갠트의 위협이 계속되자 결국 제브를 도와 열차 강도를 막고 갠트 일당을 소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해리 모건 - 율리시스 S. 그랜트 역. 남북 전쟁 당시 북군의 중요한 장군. 제브 롤링스는 우연히 그랜트 장군을 암살하려던 남군 탈영병을 막게 되면서 전쟁의 참상 속에서도 자신의 역할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그는 훗날 미국의 대통령이 된다.
  • 존 웨인 - 윌리엄 테쿰세 셔먼 역. 남북 전쟁 당시 북군의 주요 장군. 실로 전투 등 중요한 전투를 지휘하며, 전쟁의 냉혹한 현실을 보여주는 인물 중 하나로 등장한다.
  • 레이먼드 매시 - 에이브러햄 링컨 역. 남북 전쟁 시기 미국의 대통령. 영화의 시대적 배경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인물로 짧게 등장한다. 배우 레이먼드 매시는 여러 작품에서 링컨 역을 연기한 것으로 유명하다.
  • 스펜서 트레이시 - 내레이터 역. 영화 전반에 걸쳐 해설을 맡아, 프레스콧 가족의 여정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서부 개척 시대의 장대한 서사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시대별 주요 사건

영화 《서부 개척사》는 프레스콧 가문의 여러 세대에 걸친 이야기를 통해 미국 서부 개척 시대의 주요 사건들을 조명한다. 각 시대별 사건은 다음과 같이 프레스콧 가문의 운명과 얽혀 전개된다.


  • 1830년대 (강): 제불론 프레스콧 가족이 이리 운하와 오하이오 강을 통해 서부로 향하던 중, 산악인 라이너스 롤링스를 만나고 강도 사건을 겪는다. 급류 사고로 부모를 잃은 장녀 이브는 라이너스와 함께 개척지에 정착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 1850년대 (평원): 이브의 동생 릴리스는 세인트루이스에서 가수로 활동하다 캘리포니아 골드러시 유산을 상속받아 서부로 향한다. 이주민 마차 행렬에 합류하여 샤이엔족의 습격을 겪고, 프로 도박사 클리브 밴 발렌과 만나 우여곡절 끝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로 한다.
  • 남북 전쟁 (1861년 ~ 1865년): 라이너스 롤링스는 미국 남북 전쟁에 북군으로 참전하여 셔먼 전투에서 전사하고, 그의 아들 제브 롤링스 역시 전쟁의 참상을 겪으며 성장한다. 전쟁 후 제브는 어머니마저 잃고 가족 농장을 떠나 군인의 길을 계속 걷기로 결심한다.
  • 1860년대 (철도): 미국 기병대 중위가 된 제브 롤링스는 대륙횡단철도 건설 과정에서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평화를 유지하려 노력한다. 그러나 철도 회사의 탐욕으로 인해 아라파호족과의 갈등이 심화되자 이에 환멸을 느끼고 군을 떠나 서쪽으로 향한다.
  • 1880년대 (무법자): 샌프란시스코에서 과부가 된 릴리스는 애리조나의 목장으로 이주하며 보안관이 된 조카 제브 롤링스 가족과 합류한다. 제브는 과거 악연이 있는 무법자 찰리 갠트 일당의 열차 강도 계획을 저지하고, 가족과 함께 새로운 터전에 정착하며 서부 개척 시대의 막바지를 맞이한다.

3. 1. 강 (1830년대)



제불론 프레스콧(Zebulon Prescott)과 그의 가족은 이리 운하를 통해 서부 개척지로 향한다. 그들은 먼저 바지선에 실려 첫 번째 구간을 지나간 후, 오하이오 강을 따라 계속 가기 위해 뗏목을 만든다. 여정 중 프레스콧 가족은 동쪽 피츠버그로 모피를 팔러 가는 산악인 라이너스 롤링스(Linus Rawlings)를 만난다. 라이너스와 제불론의 장녀 이브(Eve)는 서로에게 끌리지만, 한 곳에 정착하는 삶을 생각할 수 없는 라이너스는 이브에게 이별을 고한다.

라이너스는 강 근처에 있는 "술집"으로 광고된 외딴 무역 기지에 들른다. 사실 그곳은 "앨라배마 대령"(Alabama Colonel) 제브 호킨스(Jeb Hawkins)가 이끄는 강도 무리가 운영하는 위장점포였다. 유혹적인 태도로 행동하는 제브의 딸 도라 호킨스(Dora Hawkins)는 라이너스를 동굴로 유인하여 칼로 찌르고 구덩이에 밀어 넣는다. 강도들은 그의 모피를 훔치고 카누를 침몰시킨다. 부상당한 라이너스는 강도들을 뒤쫓는다. 강도들이 프레스콧 가족을 습격하려 할 때 라이너스가 나타나 그들을 막고, 프레스콧 가족의 도움을 받아 강도들을 모두 처치한다.

프레스콧 가족은 강을 따라 계속 내려가지만, 뗏목이 급류에 휘말려 제불론과 아내 레베카(Rebecca)가 목숨을 잃는다. 부모를 잃은 이브 앞에 라이너스가 다시 나타난다. 이브 없이는 살 수 없음을 깨달은 라이너스는 그녀와 함께 부모님이 돌아가신 그 땅에 정착하여 개척민으로 살아가기로 결심한다.

3. 2. 평원 (1850년대)



이브 프레스콧의 여동생 릴리스 프레스콧은 동부로 돌아가지 않고 세인트루이스의 음악당 등에서 가수 겸 댄서로 활동하며 지낸다. 어느 날, 그녀는 한 단골손님으로부터 캘리포니아 금광을 유산으로 상속받게 된다. 이 소식을 엿들은 프로 도박사 클리브 밴 발렌은 금광을 차지할 속셈으로 릴리스에게 접근한다.

릴리스는 금광이 있는 서부로 가기 위해, 나이 든 여성 아가타 클레그와 함께 로저 모건이 이끄는 이주민 마차 행렬에 합류한다. 클리브 역시 빚쟁이들을 피하고 금광을 얻을 목적으로 이 여정에 호위로 동참한다. 이동하는 동안 로저 모건과 클리브는 릴리스에게 구애하지만, 그녀는 두 사람 모두 거절한다.

여정 도중 마차 행렬은 샤이엔족의 공격을 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클리브가 부상을 입기도 하지만 릴리스와 클리브는 가까스로 살아남는다. 마침내 금광에 도착하지만, 그곳은 이미 모든 금이 채굴되어 아무런 가치도 없는 폐광임이 드러난다. 실망한 클리브는 릴리스 곁을 떠나 원래의 도박사 생활로 돌아간다.

홀로 남겨진 릴리스는 금광 근처 캠프 타운의 댄스홀에서 일하며 마차에서 힘겹게 생활한다. 로저 모건이 다시 찾아와 청혼하지만, 릴리스는 또다시 거절한다.

시간이 흘러, 릴리스는 미시시피강을 오가는 강선에서 가수로 일하게 된다. 우연히 클리브가 승객으로 그 배에 타고 있었고, 릴리스의 노랫소리를 듣게 된다. 그는 하던 포커 게임(이기고 있던 판이었다)을 멈추고 릴리스에게 다가간다. 클리브는 릴리스가 빈털터리라는 사실은 개의치 않는다며 청혼하고, 새로운 기회의 도시인 샌프란시스코에서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자고 제안한다. 릴리스는 그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3. 3. 남북 전쟁 (1861년 ~ 1865년)



라이너스 롤링스는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 소령으로 참전한다. 그의 아들 제브 롤링스(조지 퍼파드) 역시 농사일에서 벗어나 영광을 찾고자 아버지의 뒤를 따라 자원 입대한다.

그러나 제브는 참혹한 셔먼 전투를 겪으며 전쟁이 자신이 상상했던 낭만적인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전투에서 아버지 라이너스는 전사하고, 제브는 큰 충격을 받는다. 전쟁의 참상에 환멸을 느낀 제브는 우연히 만난 남군 탈영병(러스 탬블린)의 꼬임에 넘어가 함께 전장을 이탈하려 한다.

탈영 도중, 그들은 우연히 율리시스 S. 그랜트(해리 모건) 장군과 윌리엄 테쿰세 셔먼(존 웨인) 장군을 마주치게 된다. 남군 탈영병은 이들을 남부의 가장 큰 적으로 여기고 저격하려 하지만, 제브는 순간적으로 그를 막아서며 사살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제브는 다시 군대에 복귀하여 복무를 이어간다. 전쟁 기간 동안 그는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전투 승진을 통해 중위까지 진급한다.

전쟁이 끝나고 중위 계급으로 고향에 돌아온 제브는 아버지를 잃은 슬픔을 이기지 못한 어머니마저 세상을 떠났다는 비극적인 소식을 접한다. 깊은 상실감 속에서 제브는 가족 농장의 자신의 몫을 동생에게 넘기고, 군인의 길을 계속 걷기로 결심하며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난다.

3. 4. 철도 (1860년대)

1860년대 후반, 중앙 태평양 철도와 유니온 태평양 철도는 경쟁적으로 서부로 노선을 확장하며 새로운 영토를 개척했다.

제브 롤링스는 미국 기병대 중위로서 대륙횡단철도 건설 중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충돌을 막고 평화를 유지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아버지 라이너스의 오랜 친구이자 들소 사냥꾼인 제스로 스튜어트(헨리 폰다 분)의 도움을 받으며 아메리카 원주민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유니온 태평양 철도의 책임자인 마이크 킹(리처드 위드마크 분)은 오직 철도 건설의 효율성만을 추구하며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약속을 깨고 그들의 영토를 침범하여 공사를 강행했다. 이는 명백한 조약 위반이었으며, 이에 분노한 아라파호족은 들소 떼를 철도 건설 현장으로 몰아넣어 많은 인부들을 죽이며 보복했다.[5][6]

제브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제스로 스튜어트와 함께 아라파호족과 화해를 주선했다. 하지만 마이크 킹은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완성된 철도를 이용해 더 많은 이익을 얻고자 개척민과 사냥꾼들을 아메리카 원주민의 땅으로 실어 나르기 시작했다. 자신들의 삶의 터전이 계속해서 위협받는다고 느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또다시 들소 떼를 풀어놓아 항의했다. 철도 회사의 탐욕과 반복되는 갈등에 혐오감을 느낀 제브는 결국 기병대 직위를 사임하고 서쪽으로 떠난다.

3. 5. 무법자 (1880년대)

샌프란시스코에서 남편 클리브가 남긴 빚 때문에 과부가 된 릴리 프레스콧은 자신의 소지품을 경매에 부쳐 빚을 청산한다. 유일하게 남은 재산인 애리조나의 목장을 관리하기 위해, 그녀는 조카인 제브 롤링스와 그의 가족을 초대하여 함께 이주하기로 한다.

보안관이 된 제브는 아내 줄리,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골드시티 기차역에서 숙모 릴리를 마중 나간다. 그곳에서 제브는 악명 높은 무법자 찰리 갠트와 마주친다. 제브는 과거 총격전에서 갠트의 형제를 사살한 악연이 있었다. 갠트가 제브와 그의 가족을 노골적으로 위협하자, 제브는 친구이자 동료 보안관인 루 램지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하지만 갠트가 해당 지역에서 어떤 범죄 혐의도 받고 있지 않아 램지는 법적으로 개입할 수 없었다.

가족을 지켜야 한다고 결심한 제브는 갠트 일당이 금괴를 운반하는 열차를 습격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홀로 그들을 막을 준비를 한다. 그는 갠트를 합법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무기를 가지고 열차에 탑승한다. 처음에는 제브의 계획에 반대했던 램지도 결국 친구를 돕기 위해 열차에 오른다.

제브의 예상대로 갠트와 그의 갱단은 열차를 습격한다. 제브와 램지는 격렬한 총격전을 벌이며 맞서 싸운다. 총격전과 이어진 열차 사고 끝에 갠트와 그의 갱단은 모두 사망한다. 위험에서 벗어난 롤링스 가족과 릴리는 마차를 타고 애리조나에 있는 그들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향해 출발한다.

4. 제작 과정

MGM은 ''벤허'' (1959년)의 성공 이후, 대형 스크린 영화 제작에 박차를 가했다.[7] 1960년, 빙 크로스비가 ''라이프'' 잡지에 실린 서부 개척 시대 사진을 바탕으로 한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MGM은 이를 받아들여 시네라마(Cinerama) 기법으로 영화를 제작하기로 결정했다.[16]

초기 프로젝트명은 ''위대한 서부 이야기''로 기획되었으나,[8][9] 최종적으로는 1830년대부터 서부 개척 시대의 종결까지를 다루는 다섯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3대에 걸친 한 가족의 이야기가 각 시대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16] 버나드 스미스가 제작을 맡았고, 제임스 웹이 각본을 집필했다.[16]

영화는 세 명의 베테랑 감독이 각 부분을 나누어 연출했다. 존 포드남북 전쟁 부분을, 조지 마셜이 대륙 횡단 철도 건설 부분을, 헨리 해서웨이가 나머지 부분을 감독했다.[16] 제작진은 서부의 광활한 풍경을 담아내기 위해 대부분의 장면을 야외에서 촬영했으며,[18] 유타주 모뉴먼트 밸리, 캘리포니아주 사우전드 오크스 등지에서 촬영이 이루어졌다.[20][21][22]

3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시네라마 기법은 넓은 화각을 제공했지만, 촬영 과정에서 기술적인 제약과 어려움이 따랐다.[23] 촬영 중 스턴트맨 밥 모건이 심각한 부상을 입는 사고도 발생했다.[24] 주요 촬영은 1962년 1월 완료되었으나, 이후 결말 보강을 위해 한 달간 추가 촬영이 진행되었다.[26] 최종 제작비는 1200만달러에 달했다.[27] 일부 장면에는 MGM의 이전 영화 ''레인트리 카운티''와 존 웨인의 영화 ''알라모''의 영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영화 음악은 알프레드 뉴먼이 작곡 및 지휘를 맡았으며, 사운드트랙 음반은 MGM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46]

4. 1. 감독

영화 제작사 MGM은 시네라마 기법을 활용하여 서부 개척 시대를 다루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기획했다.[16] 이 영화는 1830년대 서부 이주부터 캘리포니아 골드러시, 남북 전쟁, 대륙 횡단 철도 건설, 서부 개척의 "길들이기"까지 다섯 시기를 다루며, 이를 위해 세 명의 경험 많은 감독이 참여했다.[16] 제작자 버나드 스미스는 "우리는 세 명의 베테랑을 원했지, 젊은 천재는 아니었습니다"라고 언급하며, 거장 감독들의 경험을 중시했음을 시사했다.[17]

각 감독은 영화의 특정 부분을 맡아 연출했으며, 역할 분담은 다음과 같다.[16]

  • 존 포드: 남북 전쟁 관련 장면을 감독했다.
  • 조지 마셜: 대륙 횡단 철도 건설 과정을 다루는 장면을 연출했다.
  • 헨리 해서웨이: 위의 두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주요 서사(서부 이주, 골드러시, 서부 개척의 "길들이기" 등)를 책임졌다.

4. 2. 각본

MGM은 ''벤허'' (1959년)의 성공 이후, 빙 크로스비가 ''라이프'' 잡지에 실린 서부 개척 시대 사진을 바탕으로 제안한 아이디어에 주목했다. 크로스비는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TV 스페셜과 음반도 기획 중이었으며, MGM은 크로스비로부터 영화 판권을 구매했다.[16]

초기 프로젝트명은 ''위대한 서부 이야기''로, 12명의 스타가 출연하는 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하고 버팔로 빌, 제임스 형제, 빌리 더 키드 같은 역사적 인물을 포함할 계획이었다.[8][9] 제작자로 임명된 버나드 스미스는 제임스 R. 웹에게 각본 집필을 의뢰했다.[16]

웹이 완성한 최종 각본은 1830년대 서부 이주, 1849년 캘리포니아 골드러시, 남북 전쟁, 대륙 횡단 철도 건설, 서부 개척의 "길들이기"라는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 각 시대를 3대에 걸친 한 가족의 이야기가 연결하는 구조였다.[16] 각본은 존 포드(남북 전쟁), 조지 마셜(철도), 헨리 해서웨이(나머지) 세 명의 감독이 각기 다른 부분을 연출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작성되었다.[16][17]

각색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변경되거나 제약이 따랐다. 예를 들어, '남북 전쟁' 부분의 낮 장면 전투 신에는 MGM의 1957년 영화 ''레인트리 카운티''의 치카마우가 전투 장면 영상이 활용되었다. 주연 배우(조지 페퍼드, 러스 탐블린, 존 웨인, 해리 모건)들이 등장하는 장면은 야간 장면으로 촬영되었다. 강을 따라 이동하는 증기선 장면 역시 ''레인트리 카운티''에서 가져온 것이다.

또한 '철도' 부분에서는 제임스 스튜어트의 딸 줄리(호프 랭 분)가 젭(조지 페퍼드 분)과 킹 사이에서 겪는 삼각관계 관련 부차 줄거리가 최종 편집에서 삭제되었다.[5][6] 영화 촬영이 완료된 후, MGM은 가족 이야기를 마무리 짓는 새로운 결말을 요구했고, 이에 따라 조지 페퍼드와 데비 레이놀즈가 참여한 추가 촬영이 한 달간 진행되어 각본에 없던 내용이 덧붙여졌다.[26]

4. 3. 촬영

이 영화는 3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시네라마(Cinerama) 기법으로 촬영된 단 두 편의 극영화 중 하나였다(다른 하나는 《그림 형제》).[7] 시네라마는 극장의 곡면 스크린에 상영될 때 뛰어난 화질을 보여주었지만, 작은 화면으로 변환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랐다. 레터박스(letterbox) 형식으로 상영하면 원거리 촬영(롱숏)에서 배우들의 얼굴을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헨리 폰다가 들소 사냥꾼으로 등장하는 장면


영화는 다섯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세 명의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존 포드는 남북 전쟁 부분을, 조지 마셜은 철도 건설 부분을, 헨리 해서웨이는 나머지 부분을 감독했다.[16] 제작자 버나드 스미스는 "젊은 천재"보다는 경험 많은 베테랑 감독 세 명을 원했다고 밝혔다.[17]

촬영은 1961년 5월 켄터키주 파두카(Paducah)에서 존 포드 감독의 지휘 아래 시작되었다.[18] 제작자 스미스는 서부의 광활한 자연 – 거대한 사막, 끝없는 평원, 우뚝 솟은 산맥, 넓은 강 – 을 배경으로 인물들의 모험 정신과 불안정한 시대상을 담아내기 위해 대부분의 장면을 야외에서 촬영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18] 포드 감독이 자신의 담당 부분을 마친 후, 해서웨이 감독이 현장 촬영을 이어받았다.[18] 해서웨이는 포드가 연출한 장면에 대해 "약간 무대 같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9] 주요 촬영지로는 유타주 모뉴먼트 밸리(Oljato–Monument Valley)와 캘리포니아주 사우전드 오크스(Thousand Oaks)의 와일드우드 지역 공원(Wildwood Regional Park) 등이 포함되었다.[20][21][22]

시네라마 촬영 기법은 여러 어려움을 동반했다. 기존의 단일 카메라 방식보다 훨씬 넓은 시야를 담기 때문에, 존 포드 감독은 거대한 세트를 제작해야 하는 점에 대해 불평했다.[23] 헨리 해서웨이 감독 역시 시네라마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배우를 클로즈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빌어먹을 시네라마; 그걸로는 허리샷이 최대한 가까이 찍을 수 있는 거라는 걸 알아?").[23] 또한, 3대의 카메라 렌즈에 맞춰 배우들이 연기 동선이나 감정 표현을 인위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시선 처리나 감정적 교감은 촬영 현장이 아닌, 최종적으로 3개의 필름이 곡면 스크린에 투사되었을 때 비로소 완성되었다.[23] 이 때문에 평면 스크린으로 볼 경우 배우들이 서로 시선을 맞추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었다.

촬영 과정에서 사고도 발생했다. 스턴트맨 밥 모건(이본 드 카를로의 남편)은 무법자 부분을 촬영하던 중, 달리는 기차 위에서 통나무 더미를 고정하던 체인이 끊어지면서 통나무에 깔려 심각한 부상을 입고 다리를 잃었다.[24] 한편, 조지 페퍼드는 극 중 죽은 아버지를 회상하는 장면에서 제임스 스튜어트의 목소리를 흉내 내며 즉흥 연기를 선보였는데, 이는 관객들에게 아버지 배역이 누구였는지 상기시키려는 의도였다.[19]

해서웨이 감독은 제작 과정이 순탄치 않았음을 회고하며, 제작자의 무능함과 예산 문제로 인해 마지막 부분 촬영이 중단될 뻔했다고 밝혔다. 그는 서부 개척사가 법과 질서의 확립으로 마무리되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며 촬영 강행을 주장했다("서부는 법이 장악되었을 때 정복된 거야").[25]

주요 촬영은 1962년 1월에 완료되었으나, 이후 MGM은 이야기의 결말을 보강하기 위해 추가 촬영을 지시했다. 이로 인해 조지 페퍼드와 데비 레이놀즈가 참여하여 한 달간 촬영이 더 이어졌다.[26] 최종 제작비는 1200만달러에 달했다.[27]

일부 장면은 기존 영화의 영상을 재활용했다. "남북 전쟁" 부분의 낮 전투 장면과 "대평원" 부분 끝에 나오는 강 위의 증기선 장면은 MGM의 1957년 작 《레인트리 카운티》에서 가져온 것이다.[7] 또한 멕시코 군인들이 등장하는 짧은 장면은 존 웨인이 출연하고 감독한 1960년 영화 《알라모》의 영상을 사용했다.

4. 4. 음악

영화 음악은 알프레드 뉴먼이 작곡 및 지휘를 맡았고, 사운드트랙 음반은 MGM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46] 원래 서부 영화 음악으로 유명한 디미트리 티옴킨이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안과 수술 문제로 인해 뉴먼이 대신 맡게 되었다.

이 음악은 뉴먼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널리 평가받으며, 미국 영화 연구소 선정 영화 음악 100년 목록에도 포함되었다. 최우수 오리지널 음악상 후보에 올랐지만, '''톰 존스'''의 음악에 밀려 수상하지는 못했다.

영화에서는 데비 레이놀즈가 세 곡을 불렀다. 캠프파이어 장면에서 파티 분위기를 띄우는 "Raise a Ruckus Tonight", "What Was Your Name in the States?", 그리고 사미 칸이 가사를 붙이고 그린슬리브스 선율을 차용한 "A Home in the Meadow"이다.[28] 특히 "A Home in the Meadow"를 부르는 장면 이후, 클리브(그레고리 펙)는 감동하여 레이놀즈에게 결혼을 청하며 평원 지역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5. 평가 및 영향

서부를 정복하다(1962) 재개봉 예고편


영화 How the West Was Won|황야의 무법자eng는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47] 영화 음악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작품의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 미국 국립 영화등기부에 등재되었다.

5. 1. 비평

베라이어티의 해롤드 마이어스(Harold Myers)는 이 영화를 "웅장하고 흥미진진한 광경"이라고 칭찬하며, 시네라마 기법이 크게 발전하여 필름 연결 부분이 거의 눈에 띄지 않고 초기 작품에서 나타났던 화면 흔들림 문제도 해결되었다고 언급했다.[30] 런던에서의 평론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지만, 줄거리에 대해서는 일부 유보적인 의견도 있었다. 이브닝 스탠다드의 알렉산더 워커(Alexander Walker)는 이 영화를 "세련됨을 벗어던지는 슈퍼 서사시"라고 평하며 성공을 확신했고, 더 타임스는 "경멸할 수 없는 일종의 급류와 장엄함, 그리고 사치스러움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했다.[31]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93%의 높은 지지율을 얻었다.[47] 또한, 이 작품의 음악은 미국영화연구소가 선정한 영화 음악 베스트 100 목록에서 25위를 차지하는 등 음악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97년에는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미국 국립 영화등기부에 등재되었다.

5. 2. 흥행

영화 How the West Was Won|황야의 무법자eng는 미국 영화이지만 1962년 11월 1일 영국 런던의 카지노 시네라마 극장에서 세계 최초로 상영되었다.[29] 사전 예매액은 45만달러였다.[30] 이 영화는 카지노 극장에서 1965년 4월까지 123주 동안 상영되었다.

《황야의 무법자》는 흥행에 크게 성공했다. 높은 제작비(1500만달러)에도 불구하고, 북미 지역 박스오피스에서 4650만달러의 수익을 올려 1963년 영화 중 흥행 2위를 기록했다.[32] 전 세계적으로는 5000만달러가 넘는 수익을 거두었다.[3]

평단의 반응도 긍정적이어서, 로튼 토마토에서는 93%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47] 또한, 영화 음악은 미국영화연구소(AFI)가 선정한 영화 음악 베스트 100 목록에서 25위에 오르며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흥행과 더불어 작품성을 인정받아 1997년에는 미국 국립 영화등기부에 등재되었다.

5. 3. 수상

이 영화는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에 올랐으며,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화제・수상부문후보결과
제36회 아카데미상[33][34]작품상버나드 스미스후보
각본상제임스 R. 웹수상
촬영상 (컬러)윌리엄 대니얼스,
밀턴 크라스너,
찰스 랭,
조셉 라셸
후보
음악상알프레드 뉴먼,
켄 더비
후보
미술상 (컬러)조지 W. 데이비스,
윌리엄 페라리,
에디슨 하,
헨리 그레이스,
돈 그린우드 주니어,
잭 밀스
후보
의상상 (컬러)월터 플러켓후보
음향상프랭클린 E. 밀턴수상
편집상해롤드 F. 크레스수상



또한, 이 영화는 다음과 같은 인정을 받았다.

5. 4. 영향

이 영화는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93%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다.[47] 또한, 영화의 음악은 미국영화연구소(AFI)가 선정한 영화 음악 베스트 100 목록에서 25위에 오르며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으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1997년 미국 국립 영화등기부에 보존 대상으로 등재되었다.

6. 유산

개척자 리너스 롤링스 역의 제임스 스튜어트


이 영화는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7년 미국 국립 영화등기부에 등재됐다.

2000년, 워너 브라더스는 크레스트 디지털(Crest Digital)에 《서부 개척사》의 원본 시네라마(Cinerama) 네거티브 복원 작업을 의뢰했다. 이 복잡한 작업을 위해 크레스트 디지털은 자체적으로 정통 시네라마 상영관을 구축했다.[36]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는 세 개의 개별 필름 이미지를 디지털 방식으로 결합하여 평면 스크린에서도 시네라마의 넓은 화면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37] 이 복원 노력의 결과는 최신 DVD와 블루레이 디스크 출시작에 반영됐다. 이전 상영본에서는 세 개의 시네라마 패널이 만나는 경계선이 눈에 띄었지만, 워너 브라더스의 DVD와 블루레이에서는 이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됐다. 다만, 매우 밝은 장면에서는 여전히 약간의 이음새가 보일 수 있다.

복원 과정에서는 원본 촬영 및 영사 과정에서 발생했던 일부 기하학적 왜곡도 수정됐다. 예를 들어,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카메라가 금문교 아래를 통과할 때, 원근감 때문에 다리가 휘어져 보이는 현상이 있었다. 시네라마 버전에서는 이 왜곡이 세 개의 패널에 걸쳐 서로 다른 각도의 직선 형태로 나타났는데, 복원 과정에서 이를 보정했다.

블루레이 디스크에는 시네라마 상영관의 곡면 스크린 효과를 가정용 TV에서 시뮬레이션하는 'SmileBox' 버전도 포함되어 있다.

시네라마의 원래 종횡비는 2.59:1이지만, 워너 브라더스가 새로 출시한 버전은 2.89:1의 종횡비를 가진다. 이는 원래 극장 상영 시에는 보이지 않도록 의도됐던 화면 양쪽 가장자리의 추가적인 이미지 정보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블루레이의 'SmileBox' 버전은 원래 의도된 화면 비율을 유지하여 상영된다.

2006년에는 워너 브라더스 모션 픽처 이미징(Warner Bros. Motion Picture Imaging)에서 추가적인 디지털 복원 작업을 진행했다. 프라사드 코퍼레이션(Prasad Corporation)이 각 프레임을 정밀하게 복원하여 먼지, 찢어짐, 긁힘 등의 손상을 제거하고 영화 본래의 모습을 되살렸다.[38] 이렇게 복원된 버전은 2008년 10월부터 앙코르 웨스턴 채널을 통해 방영됐다.[39][40][41]

영화 평론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93%의 높은 신선도 평가를 받았다.[47] 또한, 이 영화의 음악은 미국영화연구소(AFI)가 선정한 영화 음악 베스트 100 목록에서 25위에 오르며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참조

[1] 잡지 Bernard Smith Clarifies Fiscal Facts As to 'How the West Was Won' https://archive.org/[...] 1963-08-03
[2] 웹사이트 How The West Was Won https://www.encyclop[...] Encyclopedia.com 2020-11-01
[3] 웹사이트 Box office / business for How the West Was Won http://www.imdb.com/[...] IMDb 2020-11-01
[4] 웹사이트 New to the National Film Registry Librarian Names 25 More Film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0-11-01
[5] 서적 In Morticia's Shadow: The Life and Career of Carolyn Jones Jacobus Books 2012
[6] 웹사이트 'HOW THE WEST WAS WON': DELETED SCENES http://www.daveswarb[...] HOW THE WEST WAS WON: The Making of MGM's classic Cinerama epic movie
[7] 뉴스 Five pictures put on Bresler's S1ate 1960-07-07
[8] 뉴스 PUTTING THE OLD WEST ON NEW DISKS 1960-07-24
[9] 뉴스 Screen news and notes. 1960-06-21
[10] 뉴스 Illness Will Force Decision on 'Hush': Picture May Be Called Off; Loretta Young Refuses Lead 1964-08-07
[11] 뉴스 Metro sets three cinerama movies. 1960-10-01
[12] 뉴스 VIEW FROM A LOCAL VANTAGE POINT 1961-03-05
[13] 뉴스 Looking at Hollywood. 1961-04-21
[14] 뉴스 Big-names roster in 'west' growing 1961-04-28
[15] 뉴스 Entertainment. 1961-05-06
[16] 뉴스 HOLLYWOOD EPIC 1961-05-21
[17] 뉴스 Hollywood unlimbers big guns to win west. 1961-09-03
[18] 뉴스 OUT 'WEST' IN CINERAMA 1961-06-18
[19] 잡지 'I made movies' an interview with Henry Hathaway https://archive.org/[...] 1974-09-10
[20] 서적 When Hollywood came to town: a history of moviemaking in Utah Gibbs Smith 2010
[21] 웹사이트 Locally filmed Westerns 'Butch Cassidy,' 'Gunsmoke' part of Conejo film fest https://web.archive.[...] 2019-03-03
[22] 웹사이트 Conejo film fest highlights Westerns https://www.toacorn.[...] 2015-11-12
[23] 서적 Take One https://books.google[...] Unicorn Pub. 2018-09-14
[24] 웹사이트 How the West Was Won http://www.snopes.co[...] Snopes.com 2014-05-14
[25] 서적 Just Making Movi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6] 뉴스 Looking at hollywood. 1962-02-14
[27] 뉴스 MGM and cinerama to release first joint movie this summer. 1962-04-09
[28] 웹사이트 How The West Was Won: the lyrics to the songs http://www.daveswarb[...] 2016-12-28
[29] 잡지 Lastfogel Calls London the Best Hard Ticket City in the World 1962-11-07
[30] 잡지 Film Reviews: How the West Was Won 1962-11-07
[31] 잡지 London Critics Rave Over 'West' 1962-11-07
[32] 웹사이트 Box Office Information for ''How the West Was Won'' http://www.the-numbe[...] 2013-09-02
[33] 웹사이트 The 36th Academy Awards (1964)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1-08-23
[34] 웹사이트 NY Times: How the West Was Won https://web.archive.[...] 2011
[35] 웹사이트 AFI's 100 Years of Film Scores http://www.afi.com/D[...] American Film Institute 2016-08-14
[36] 웹사이트 Cinerama Dome Moves Forward http://www.hollywood[...] Hollywoodheritage.org 2014-05-14
[37] 웹사이트 HP Labs – Movie makeover : HP and Warner Bros. give old movies new life http://www.hpl.hp.co[...] 2007-09-16
[38] 서적 From Grain to Pixel: The Archival Life of Film in Transition
[39] 웹사이트 economictimes, Strategic alliance for creation of digital intermediaries, Dec 17, 2007 http://articles.econ[...]
[40] 웹사이트 Warner bros., Prasad Corp form strategic alliance | News https://www.glamsham[...] 2021-08-07
[41] 웹사이트 prasadgroup.org, Digital Film Restoration http://www.prasadgro[...]
[42] 간행물 Gold Key: ''How the West Was Won''
[43] 서적 How The West Was Won Bantam Books 2017-09-01
[44] 문서 노크레딧. 각 화의 연결 장면을 감독.
[45] 웹사이트 How the West Was Won (1962) - Box office / business http://www.imdb.com/[...] IMDb 2011-09-23
[46] 웹사이트 How The West Was Won, Original Soundtrack https://www.discogs.[...] 2024-10-27
[47] 웹사이트 How the West Was Won http://www.rottentom[...] Rotten Tomatoes 2010-04-19
[48] 간행물 Variety film review Variety Film Reviews 1962-11-07
[49] 웹사이트 서부 개척사 :: 네이버 영화 http://movie.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